박영선 후보는 25일 자정 서울 마포구 홍익대 인근에 있는 한 편의점에서 야간 아르바이트 체험에 나섰다. 박 후보는 편한 운동복 차림에 편의점 조끼를 입고 1시간 정도 손님들을 맞이했다. 그는 직접 재고를 진열하거나 과자류, 주류 등을 판매하면서 함께 근무한 편의점 직원에게 “몇시부터 일하나” “한 달에 얼마나 버는가” 등을 묻기도 했다.
논란이 된 발언은 아르바이트 체험을 마치고 취재진과의 인터뷰 과정에서 나왔다. 최근까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박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중기부 장관을 하면서 스마트상점과 무인 수퍼를 보급·확산시켰다. (편의점) 점주에게 이런 것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중기부 장관 시절 동네 수퍼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스마트 수퍼’ 사업을 추진했다. 스마트 수퍼는 낮에는 유인으로, 심야에 무인으로 운영되는 혼합형 점포를 말한다.
이어 박 후보는 “(편의점이 무인으로 운영된다고 하면)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오히려 자정부터 아침 7시까지 (편의점이) 무인으로 운영되면, (아르바이트 직원은) 근무시간이 줄어들고 (편의점 주인은) 밤에 올라간 매출만큼 (직원에게 급여를) 더 지불을 하면 된다”며 “그러면 점주도 좋고 알바생도 좋아진다. 알바생이 덜 피곤하니까 손님한테 더 친절할 것”이라고 했다. 박 후보는 “(편의점) 점주가 ‘그렇다면 해야 겠다’고 말했다. 그 얘기를 아르바이트 직원에게도 했다”며 “밤에 올빼미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선 “야간 알바생이 힘들다니깐 야간 알바 자리를 없애는 격” 등 비판이 나왔다. 한 네티즌은 “점주가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무인 시스템을 들여놓는다면 24시간 무인 시스템을 쓰지 낮에만 알바 직원을 고용하겠느냐”고 했다. “현실적으로 어떤 편의점 사장이 무인 점포를 운영해서 나온 이익으로 알바 직원 시급을 올려주겠나” “편의점에서 홍보행사 하면서 청년들 가슴을 후벼팠다” 등 비판도 나왔다.
논란이 된 발언은 아르바이트 체험을 마치고 취재진과의 인터뷰 과정에서 나왔다. 최근까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역임한 박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중기부 장관을 하면서 스마트상점과 무인 수퍼를 보급·확산시켰다. (편의점) 점주에게 이런 것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중기부 장관 시절 동네 수퍼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스마트 수퍼’ 사업을 추진했다. 스마트 수퍼는 낮에는 유인으로, 심야에 무인으로 운영되는 혼합형 점포를 말한다.
이어 박 후보는 “(편의점이 무인으로 운영된다고 하면) 일자리가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오히려 자정부터 아침 7시까지 (편의점이) 무인으로 운영되면, (아르바이트 직원은) 근무시간이 줄어들고 (편의점 주인은) 밤에 올라간 매출만큼 (직원에게 급여를) 더 지불을 하면 된다”며 “그러면 점주도 좋고 알바생도 좋아진다. 알바생이 덜 피곤하니까 손님한테 더 친절할 것”이라고 했다. 박 후보는 “(편의점) 점주가 ‘그렇다면 해야 겠다’고 말했다. 그 얘기를 아르바이트 직원에게도 했다”며 “밤에 올빼미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선 “야간 알바생이 힘들다니깐 야간 알바 자리를 없애는 격” 등 비판이 나왔다. 한 네티즌은 “점주가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무인 시스템을 들여놓는다면 24시간 무인 시스템을 쓰지 낮에만 알바 직원을 고용하겠느냐”고 했다. “현실적으로 어떤 편의점 사장이 무인 점포를 운영해서 나온 이익으로 알바 직원 시급을 올려주겠나” “편의점에서 홍보행사 하면서 청년들 가슴을 후벼팠다” 등 비판도 나왔다.
- 조선일보
조선일보 인터넷판에서도 강조체로 쓴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ㅋㅋㅋ
덧글
집 주변에 무인 시스템도 있는 편의점이 있는데 심야에도 편의점 직원이 있더군요. (출입문에는 '무인운영때 구매하면 10% 할인!!'이라 붙어있구요.)
그리고 모 이글루스 유저의 글을 빌리자면 노령층에서는 익숙하지 않아서 못 쓴다네요.
또 하나, 대형할인마트 무인 계산대 이용 고객이 적던데요.
편의점 무인화보다 자동판매기를 더욱 대형화, 판매품 다양화가 더욱 합리적으로 보이는데요.